자격증과 세미나, 프로그램 이야기를 주저없이 써봅니다.

Since 2008. 10.

개인적 이야기/발자취 & 생활 이야기

2014 뉴스Y 심포지엄 기업의 미래 투자 전략

럭키맨 운수 2014. 3. 22. 22:13

 

연합뉴스TV는 3월 31일 연합뉴스빌딩에서 2014 뉴스Y 심포지엄 기업의 미래 투자 전략을 개최합니다.

(http://www.news-y.co.kr/newsysp2014)

 

• 일시: 2014년 3월 31일(월) 14:00~18:00

• 장소: 연합뉴스빌딩 17층 다목적홀

 

오시는 길은 다음과 같습니다.

 

Agenda는 다음과 같습니다.

 

[기조강연] 한국경제, 새로운 100년을 모색한다
- 다가올 ‘통일시대’를 새로운 산업적 기회로 풀어내기 위한 정부의 기획과제들
- 정부 차원에서 분석한 ‘미래 먹거리’ 산업과 각 산업별 지원 방식, 규모 등
- 정부 등 공공부문과 기업 등 민간부문에서 역점을 두고 도전해 풀어나가야 할 과제
- ‘샌드위치 위기론’ 속 한국경제가 처한 현황과 새로운 기회

 

[세션 1] 창조경제, 기업의 ‘미래먹거리‘ 전략은?

강연 1> 송인혁 퓨쳐디자이너스 대표

- 애플/구글/아마존/삼성 등 기업들이 고객 각자의 관심사끼리 만날 수 있는 장(생태계/플랫폼/앱스토어)을 만드는 전략
- 위기의 스타벅스가 휴대폰 충전기로 수퍼스타로 복귀하다
- 덕평휴게소, 남자 화장실이 대박을 터뜨린 이유
- 아마존이 왜 애플을 능가하는 회사로 주목 받는가
- 관심네트워크를 이용한 새로운 산업, ‘Big Game’ 전략

 

강연 2> 최재붕 성균관대 스마디 사업단장
- ‘인간 중심 사물인터넷'의 개념과 가능성
- 스마트폰 관련 사물인터넷 기술의 현재와 미래
- 창조경제적 관점에서 봤을 때 산업 전망
- 구글글래스 등 새로운 기술을 적용한 제품의 출연과 사례
- 바르셀로나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(MWC) 2014에서 확인한 사물인터넷 산업 현주소

 

강연 3> 박성훈 CJ(주) 미래전략실장/부사장
- 추격형 성장 방식의 한계에 봉착한 한국경제의 현황과 대안으로서의 창조경제
- 대표적 창조산업인 문화콘텐츠 산업의 특성 및 기대 효과
-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벤처기업/ 대기업의 역할 및 상생 모델

 

강연 4> 고산 타이드인스티튜트 대표
- TIDE Institute 와 Fab Lab Seoul의 사례를 통해 보는 ‘제조 창업’의 새로운 미래
- PC → Internet → Mobile → Device 로 연결되는 거대한 트렌드의 전환
- 3D 프린터 등 제조업의 새로운 기회를 놓치지 않기 위해 준비해야 할 국가차원 제조기반
- 3D 프린터 시제품 제시 및 체험협업 방법 소개

 

종합토론> ‘제조 생태계’를 넘어 ‘창조 생태계’로
- 기존의 한국 제조산업 기반은 창조산업 육성을 위해 무엇이 부족한가?
- 대기업‧중소기업 간 힘의 격차로 인해 발생했던 문제점과 이를 개선하기 위한 창조경제적 대중소기업 상생방안은?
- 창조경제 핵심인 창업에 걸림돌이 되고 있는 요소들과 이에 대한 규제 개혁 방안은?

 

[세션 2] 통일시대, 기업의 투자 전략은?
조동호 이화여대 대학원 북한학과 교수
홍순직 현대경제연구원 통일경제센터장
조봉현 IBK 경제연구소 수석연구위원
안병민 한국교통연구원 북한동북아연구실장

 

△ 통일=대박 패러다임, 어떻게 볼 것인가
- 통일은 정말 대박인가? 통일시대의 경제적 효과를 검증해 본다면?
- 통일이 대박이 될 수 있는 산업과 논의의 급작스런 진전에 대비한 대응책은?
- ‘재앙에서 축복으로’ 독일 통일과정 사례 비교 분석을 통한 한반도 통일 전략은?

 

△ 북한과의 경제협력 사업 개발에 앞서 타진해야 할 실무 조건들은 무엇인가
- 북한의 관료집단‧법제도의 특징은 무엇이고, 우리와 어떻게 다른가?
- 북한 근로자들이 가진 특장점과 한국 기업들이 유의해야 할 성격적 특징은?
- 중국 진출 기업들의 사례와 비교해 볼 때 북한 내 기업 경영환경의 특징은?

 

△ 개발 가능한 북한 내 유용한 자원 현황 및 이를 활용한 유망 산업은?
- 텅스텐‧희토류 등 북한 내 풍부한 지하자원의 종류는?
- 지하자원 개발과 반출을 위해 북한 당국과 협의할 때 필요한 전략은?
- 확보 가능한 북한 자원에 맞춤형 산업은 무엇인가?

 

△ 제2개성공단, 어떻게 만들 것인가
- 제2, 제3의 개성공단 모델로 적절한 후보지와 산업적 배경은?
- 개성공단 모델의 성과와 한계를 통해 보는 새로운 경제협력공단의 개발 방안은?
- 개성공단 모델 확대‧개선을 위해 필요한 교통‧통신‧에너지 인프라 구축 문제는?

 

△ 남북 경제협력, 벽에 부딪힌 공기업의 새로운 가능성이 될 수 있을까?
- LH, 한국전력 등 ‘저성장’ 한계점에 봉착했다는 지적이 나오는 공기업들의 북한 진출 전략
- 북한 내 인프라 구축 ‘선발주자’가 되기 위해 우리 공기업에 필요한 것은?

 

△ 대기업‧해외기업의 북한 진출, 어떻게 유도할 것인가?
- 현대아산의 관광산업을 제외한 대기업의 북한 진출이 어려운 이유는?
- 대기업들의 북한 투자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조치는?
- 해외기업의 북한 진출을 보장하기 위해 필요한 법적‧제도적 안전 장치는?

 

2014 뉴스Y 심포지엄 기업의 미래 투자 전략 등록하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