더미허브와 스위칭 허브 | |||
1) 허브의 기능 : 가까운 거리의 PC를 UTP케이블을 이용해 연결 | |||
허브와 허브간의 연결을 통해 근거리 다른 네트웍을 연결 | |||
2) 일반적인 케이블링(스타구조) : UTP케이블을 이용해 각각의 PC를 허브에 연결하는 구조로 매우 안정적이다. | |||
즉 허브가 네트웍에 도입되면서 구조화된 케이블이 가능해졌고 클라이언트의 확장성이 용이해졌다. | |||
3) 더미허브와 스위칭허브의 차이점 | |||
더미 허브 |
스위칭 허브 |
||
기 능 |
- 컴퓨터간의 네트웍 연결 | - 관리기능 및 신호처리, 증폭기능 추가 | |
- 허브와 라우터 등 다른 네트웍 장비와 연결 | |||
- 단순한 신호분배 기능 | |||
장단점 |
- 가격이 싼 장점이 있으나 불안정하다. | - 안정적이고 속도가 빠르다. | |
- 문제해결이 어렵다. | - 문제해결이 쉽다. | ||
- 고가이다 | |||
4) 스위칭 허브의 이해 | |||
- LAN 전송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고유한 의미의 허브에 스위칭 개념을 도입한 네트웍 장비 | |||
- 데이터 전송방식에 따른 분류 | |||
Cut Through |
Store & forward |
Adaptive | |
내용 |
입력이 들어오면 바로 출력하는 구조 | 입력 데이터를 버퍼에 저장후 전송하는 방식 | 두가지 방식혼용 |
장단점 |
속도는 빠르나 안정성 결여 | 속도는 느리나 안정적 | 속도와 안정성 양호 |
'IT 자격증 > 네트워크관리사 및 네트워크마스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DNS (0) | 2008.12.09 |
---|---|
Ping 명령어 (0) | 2008.12.08 |
인트라넷 (0) | 2008.12.07 |
모사전신 (0) | 2008.12.07 |
게이트웨이(Gateway) (0) | 2008.12.03 |